728x90
프로그래머스에서 정렬 중 K번째수 문제 풀이를 해보겠습니다. 정렬은 기본적으로 어떤 공통된 속성을 갖고 있는 리스트를 기준에 의해서 순서를 정해서 나열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. 이 정렬의 기본 개념을 갖고 문제 설명을 확인하여 이해하고 알고리즘을 만들고 코드 구현까지 공유드리겠습니다.
프로그래머스 > 정렬 > K번째수 문제 풀이
☞ 문제 정보
- 문제명: K번째수
- 문제 난이도: Level 1
- 문제 푼 사람수: 61117명
- 사용 가능 언어: 11개 (JavaScript 사용)
☞ 문제 설명
배열 array의 i번째 숫자부터 j번째 숫자까지 자르고 정렬했을 때, k번째에 있는 수를 구하려 합니다.
예를 들어 array가 [1, 5, 2, 6, 3, 7, 4], i = 2, j = 5, k = 3이라면
1. array의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르면 [5, 2, 6, 3]입니다.
2. 1에서 나온 배열을 정렬하면 [2, 3, 5, 6]입니다.
3. 2에서 나온 배열의 3번째 숫자는 5입니다.
배열 array, [i, j, k]를 원소로 가진 2차원 배열 command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commands의 모든 원소에 대해 앞서 설명한 연산을 적용했을 때 나온 결과를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☞ 문제 이해
- 숫자로 된 배열을 i~j만큼 배열을 자른다.
- 위 배열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.
- 위 배열에서 k번째 숫자를 반환한다.
☞ 제한사항
· array의 길이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· array의 각 원소는 1 이상 100 이하입니다.
· commands의 길이는 1 이상 50 이하입니다.
· commands의 각 원소는 길이가 3입니다.
☞ 입출력 예
array commands return [1, 5, 2, 6, 3, 7, 4] [[2, 5, 3], [4, 4, 1], [1, 7, 3]] [5, 6, 3]
☞ 입출력 예 설명
· [1, 5, 2, 6, 3, 7, 4]를 2번째부터 5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2, 3, 5, 6]의 세 번째 숫자는 5입니다.
· [1, 5, 2, 6, 3, 7, 4]를 4번째부터 4번째까지 자른 후 정렬합니다. [6]의 첫 번째 숫자는 6입니다.
· [1, 5, 2, 6, 3, 7, 4]를 1번째부터 7번째까지 자릅니다. [1, 2, 3, 4, 5, 6, 7]의 세 번째 숫자는 3입니다.
☞ 알고리즘 만들기
알고리즘은 정말 간단합니다. 각 명령어 별로 처리된 결과를 배열로 반환해주면 됩니다.
1. commands를 순서대로 선택한다.
2. 선택된 command의 첫번째 값 i와 두번째 값 j로 array를 자른다.
3. 2에서 자른 array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.
4. 3에서 만든 array에서 선택된 command의 세번째 값 k번째를 저장한다.
5. 모든 command를 수행하고 얻은 결과 값을 배열로 반환한다.
☞ 코드 구현
이제 마지막으로 코드로 구현해보겠습니다.
function solution(array, commands) {
const answer = [];
// 1. commands를 순서대로 선택한다.
for(let i = 0; i < commands.length; i++) {
// 2. 선택된 command의 첫번째 값 i와 두번째 값 j로 array를 자른다.
const tmp_array = array.slice(commands[i][0]-1, commands[i][1]);
// 3. 2에서 자른 array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.
tmp_array.sort((a, b) => a-b);
// 4. 3에서 만든 array에서 선택된 command의 세번째 값 k번째를 저장한다.
answer.push(tmp_array[commands[i][2]-1]);
}
// 5. 모든 command를 수행하고 얻은 결과 값을 배열로 반환한다.
return answer;
}
점수는 역시 만점이 나왔습니다. 이번 문제는 정확성 테스트 케이스만 7개 있었습니다. 문제 풀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※ 번외 - 코드 간소화
위처럼 코드 구현까지 완료해보았습니다.
위 코드는 알고리즘과 1:1 매칭을 하기 위한 코딩이었습니다.
아래는 JavaScript 문법을 활용한 코드를 간소화 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.
function solution(array, commands) {
var answer = commands.map((obj) => {
let tmpArr = array.slice(obj[0]-1, obj[1]).sort((a, b) => a - b);
return tmpArr[obj[2]-1];
});
return answer;
}
정말 같은 알고리즘을 통해 7줄, 5줄 이렇게 코드를 구현하는 스킬에 따라 천차만별로 코드 결과가 도출될 수 있습니다.
이 글을 보시는 분들께서도 문제풀이에 성공하셨더라도, 어떻게 하면 더 코드를 간략화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고민해보는 습관을 가져보시기 바랍니다.
오늘도 프로그래머스에서 정렬 중 K번째수 문제 풀이를 해보았습니다. 함께 알고리즘 문제를 모두 푸는 날까지 같이 공부해봅시다.
728x90
'컴공생의 Knowledge > Algoritm Solu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탐욕법 - 체육복 문제 풀이 (8) | 2022.06.20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완전탐색 - 모의고사 문제 풀이 (0) | 2022.06.19 |
[프로그래머스] 해시 - "완주하지 못한 선수" 문제 풀이(Hash 활용) (0) | 2022.06.15 |
[프로그래머스] 해시 - "완주하지 못한 선수" 문제 풀이 (0) | 2022.06.14 |
[프로그래머스] 스택/큐 - 기능개발 문제 풀이 (0) | 2022.06.13 |
댓글